반응형
SMALL
LG화학이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의 원료를 생산하는 탄소저감
설비를 구축해 '2050 넷제로' 달성 기반 마련에 나섰다.
LG화학, 탄소로 플라스틱 만든다…'탄소저감' 설비 구축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LG화학이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의 원료를 생산하는 탄소저감 ...
dailyfeed.kr
LG화학은 공장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와 부생가스인 메탄을 사용해
플라스틱을 만드는 메탄건식개질 설비를 구축한다고 17일 밝혔다.
DRM은 탄소포집·활용 기술의 한 종류로 기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50%이상 저감하고 주요 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는 탄소저감 설비다. LG화학은 이번 DRM 공장을 외부 라이선스 기술이 아닌 자체 기술로
구축하고 이산화탄소 전환에 핵심이 되는 촉매까지 독자 기술로 개발했다.
LG화학에 따르면 자체 기술 기반의 공정과 촉매까지 적용으로 DRM
설비를 상업화하는 것은 이번이 국내 최초라는 설명이다.
지금까지 DRM은 운전 시 촉매 성능이 빠르게 낮아지는 문제로 상업화가 어려웠지만, LG화학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독자 개발한 공정과 촉매 기술을 적용해 촉매의 내구성을 강화했다.
DRM 설비는 2023년까지 충남 대산 공장에 1000톤 파일럿 공장으로 건설 후 독자기술로 개발된 공정
기술과 촉매를 검증하고 2026년까지 규모를 지속해서 확대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지난 2019년 고부가 사업인 촉매 생산 기술을 내재화하기
위해 촉매 사업을 담당하는 조직을 신설했다. 특히 친환경 주력 제품인
POE, CNT 등 생산에 필수적인 촉매를 독자 기술로 개발해 출시했고
신촉매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노국래 석유화학사업본부장은 "LG화학은 전통적인 석유화학 산업 구조에 머무르지 않고 전 세계 화학산업의
탄소 저감 및 지속 가능한 혁신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 기사별로 소개하고유효한 클릭이 발생하면 수익이 발생합니다.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용 반도체 부품값 급등 (0) | 2022.11.25 |
---|---|
계란 한판 6500원 넘어 (0) | 2022.11.23 |
'빅스텝' 시사 (0) | 2022.11.15 |
높은 주거비 부담에 박탈감 (0) | 2022.11.14 |
알리익스프레스 간편결제 서비스 (0)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