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반도체 장비 업체, 韓으로 속속 입성하는 까닭
[아이뉴스24 민혜정 기자] 글로벌 반도체 장비 업체들이 속속 투자 보따리를 풀며 한...
day-news.kr
글로벌 반도체 장비 업체들이
속속 투자 보따리를 풀며
한국으로 입성하고 있다.
이는 우리 정부가 장비 업체
투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고, 장비 업체로서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을 수 있어서다. 일각에선 미국의
대중 제재로 중국 시장에서 활로가
막히면서 한국에서 대안을 찾으려는
움직임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반도체
장비 1위 기업인 미국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는 경기도에 메모리
장비 연구·개발 센터를 건설하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AMAT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매출의
17%가 한국에서 나올 정도다.
AMAT는 수원, 용인을 센터 설립
부지로 검토하고 있으며 특히
정부가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한 용인 쪽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최근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을
통해 용인에 2042년까지 300조원
규모로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총 1천200만평 규모 부지에
산단을 조성해 전국에 첨단산업
생산거점을 고르게 확보하고 기업
투자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산단으로 지정되면
인허가 신속 처리와, 기반시설 구축,
세액 공제 등 전방위적 혜택이 주어진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유치 의사를
적극적으로 밝히면서 해외 업체들의
국내 진출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생산 설비까지는 모르겟지만 R&D
시설이 잇달아 들어설 가능성은 크다"고
말했다.
최근엔 미국 정부가 미국, 일본,
네덜란드 등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을
주도하는 국가들을 상대로 중국으로
장비 수출을 금지하면서 장비 업체들에게
한국 시장은 더욱 중요해졌다.
반도체 첨단 공정에 필요한 극자외선
노광장비를 만드는 네덜란드 ASML도
한국 시장 확대에 공격적이다. ASML은
2천400억원을 투자해 경기도 화성에
신사옥과 부품 재제조시설 등을 짓고 있다.
ASML은 매출의 약 30%가 중국에서
나왔지만, 규제가 시행되면 이를 다른
지역에서 보완해야 하는 상황이다.
미국 램리서치는 지난해 4월 경기도
용인에 R&D 센터를 개소했다. 지난
2021년엔 화성에 제3공장도 설립했다.
이밖에 일본 장비 업체인
고쿠사이일렉트론, 히타치하이테크도
한국 공장과 R&D시설을 확대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장비 업체들이
중국 사업이 큰 어려움에 직면하면서
삼성과 SK하이닉스가 있는 한국 시장에
진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특히 R&D 거점 확대를 통해 한국 정부나
기업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별로 소개하고 유효한 클릭이 발생하면 수익이 발생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한금융그룹, '신한 디지털 RE100' 추진 선언 (0) | 2023.03.31 |
---|---|
음식값 10.4% 오를 때 식자재값 17.6% 올랐다 (0) | 2023.03.27 |
"세계 최초" 우리 기술로 폐배터리서 100% 근접 블랙파우더 회수 성공 (0) | 2023.03.26 |
에쓰오일, 탄소 저감 특수 페인트 벤처기업에 투자 (0) | 2023.03.23 |
"애플페이 체크카드 만들자" SC제일은행, 비대면 계좌 개설 수요 2배 급증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