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E&S가 글로벌 수소에너지 선도기업 플러그파워와
수소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협력 강화에 나섰다.
SK E&S, CES 2023 현장서 美 플러그파워와 '수소 파트너십' 강화
SK E&S가 플러그파워와 수소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협력 강화에 나섰다.(...
newsposts.kr
SK E&S는 추형욱 대표이사 사장이 5일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3' 현장에서 앤디
마시 플러그파워 최고경영자를 만나 'SK 플러그
하이버스'의 주요 사업 현황을 점검하는 등 수소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10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해 1월 합작회사 하이버스를 설립하고 아시아 시장
수소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 중이다.
양사는 우선 액화수소 충전소를 시작으로 수소 사업 협력을 본격화한다. 올해
SK E&S는 연산 최대 3만톤 규모 인천 애고하수소플랜트 상업가동을 시작한다.
하이버스는 전국 주요 수요처 인근에 액화수소 충전소를 구축해 SK E&S가
생산한 액화수소를 공급할 계획이다.
또한 수소 핵심설비 생산기지인 인천 기가팩토리 건설 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한다.
하이버스는 내년부터 수소 연료전지와 전해조 설비의 대량 생산체계를 갖추고,
국내 및 아시아 시장에 제품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추 사장은 만난 자리에서 "수소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플러그파워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국내 수소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앤디 CEO는 "SK그룹의 에너지 분야 사업 역량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양사가 한국을 넘어 아시아 수소 연료전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사의 만남은 SK E&S와 플러그파워가 최대 가전·정보기술 박람회인 CES 2023에
공동 참가한 가운데 이뤄졌다. CES 기간 동안 전시관에서는 플러그파우의 수소
연료전지 젠드라이브와 수소 충전기 젠퓨얼 디스펜서 등을 선보였다.
미국의 수소 기업인 플러그파워는 그린수소의 생산, 저장, 활용을 포괄하는 그린수소
생태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또 지게차용 연료전지 분야에서 미국 내 시장점유율
95%를 자랑할 뿐만 아니라 물을 전기분해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전해조 설비
제조 기술력 분야에서도 대규모 수주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SK E&S는 지난 2021년
SK와 함께 플러그파워에 약 1조8000억원을 투자해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한 바 있다.
SK E&S는 또 지난 2월 세계 최장 13시간 24분 연속비행에 성공한 액화 수소 드론도
전시했다. 액화수소는 기체수소 대비 에너지 저장 밀도가 높고 안정성도 뛰어나 향후
수소경제 확산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SK E&S는 액화수소 드론
분야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의 연구개발을 지원하며 조기 상용화에 앞장서고 있다.
추 사장은 에버차지 제이슨 아펠바움 CEO와도 만나
미국 내 전기차 충전 시장 확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에버차지는 지난해 3월 SK E&S가
인수한 미국 전기차 충전기업으로, SK E&S는 이번 CES
2023 현장에서 에버차지의 가정용 EV충전기 'COVE'를
최초 공개하기도 했다. 에버차지의 EV충전기는 다이나믹
로드 매니지먼트 기술을 통해 건물 전체의 전력부하를
효과적으로 관리·제어할 수 있다.
추 사장은 "앞으로도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함께 수소, 에너지솔루션 등 그린에너지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탄소 감축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 E&S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현지 시간 8일까지 열린 CES 2023에서 수소,
에너지솔루션, 탄소포집·활용·저장 등 에너지분야에서의 다양한 탄소감축 솔루션들을
공개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들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뉴스 기사별로 소개하고유효한 클릭이 발생하면 수익이 발생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바바클라우드, 2년 연속 가트너 '비저너리' 등급 세계 3위 클라우드 입지 단단히 (0) | 2023.01.22 |
---|---|
'뉴진스' 잡은 LG전자, 노트북 시장서 LG 그램 존재감 뿜뿜 (0) | 2023.01.19 |
삼성전자 갤럭시S23 가격 올릴 듯 대략 15만 원 인상 예상 (0) | 2023.01.18 |
삼성전자, 갤럭시 버즈2 프로와 워치로 스마트폰 카메라 사용성을 한 차원 높이다 (0) | 2023.01.13 |
LGD, 초대형·슬라이더블·투명 OLED로 車 디스플레이 공략 박차 (0) | 202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