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인

지지부진 가상자산...국내 거래소 '내실 다지기' 주력

by e코노미 2023. 2. 24.
반응형
SMALL
 

지지부진 가상자산…국내 거래소 '내실 다지기' 주력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최근 내실 다지기에 나서고 있다. 맨 위부터 코인원, 빗썸,...

news-topic.net

비트코인이 상승세를 멈추고 또다시 하락세를 보이는
중이다.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들은 지난해 크립토 윈터를
겪은 후, 반등에 성공했지만 최근들어 지지부진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시장이
안정화를 대비해 내실 다지기에 나서고 있다.

 

23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2만 4100달러대를 기록 중이다.
지난 22일 3.3%가 하락한 2만 4000달러대에 위치한 후, 비슷한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비트코인의 이 같은 약세는 약세는 상관관계가 커진
나스닥이 급락했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의 고용 및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며 연방준비제도가
예상보다 금리를 높게 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확대했기 때문으로 21일
나스닥 지수는 2.50%나 급락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의 대형 가상자산은 여전히 연준의 긴축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최근 들어선 각국 정부들이 가상자산과 관련되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내실 다지기에 나서고 있다.

 

코인원은 최근 위믹스를 깜짝 재상장하며 과감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으며
코인원 내 위믹스 일일 거래대금은 약 200억원에 달할 정도다. 국내 인기
가상자산이었던 위믹스를 토대로 기반을 다지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코인원은 최근 자금세탁방지 센터를 확장 이전하며 외국계 은행에서
30년 경력을 쌓은 정수훤 AML 실장을 영입했다. 코인원은 기존 금융권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준법, 자금세탁방지 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코인원 차명훈 대표는 "앞으로도 AML 전문가 육성 및 전담 조직 역량 강화 등

선진적인 자금세탕방지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빗썸은 투자자보호를 위해 최근 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을
취득했다. ISMS-P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인증하는 제도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위한 기업 일련의 조치와 활동이 인증기준에 적합하다는 것을
뜻한다. 이미 정보보호·개인정보 관리체계 국제 표준 인증 4종을 보유하고
있는 빗썸이 투자자보호 강화에 나선 것이다.

 

더불어 내부적으로 정보보호위원회 운영을 통해 사내 위험평가를 진행하며
정보보호 계획을 수립해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지속적으로 점검 중이다.
아울러 빗썸은 유관부서와 협업으로 관련 법령 준수를 위한 사규를 제정해
매월 정보보호의 날을 지정하고 임직원들과 내부정보 유출 예방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는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4월
업계 최초 ESG 경영위원회를 출범한 이후, 11월에 첫 정기위원회를 개최한
두나무는 지난 21일, 올해 첫 ESG 경영위원회를 열었다.

 

송치형 두나무 ESG 위원장은 "정기적인 ESG 경영위원회를 통해 두나무
ESG의 현주소와 경영 방향을 계속적으로 점검해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천해 나갈 것이다"고 전했다.

 

아울러 업비트는 보이스피싱 등의 피해를 입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심리상담 서비스 '심리케어'의 지원 범위를 확대했다. 투자자 보호
서비스 '업비트케어'의 일환인 '심리케어'는 기존 수도권 집중 상담센터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횟수도 1회에서 5회로 늘리는 등 프로그램 강화에 나섰다.

 

 

 

 

업비트 투자자보호센터 관계자는 "심리케어는 전자금융사기 피해자의
거주 지역, 심리 상태, 상담 주제를 고려해 상담사를 연계한다"며 "급변하는
디지털 자산 시장에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정보에 맞서 선제적으로 투자자를
보호하고, 전자금융사기 등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가 정립되고 시장이 안정화
됐을때를 대비해 내실 다지기에 나서고 있다. 또한 이 같은 튼튼한 기반을 토대로
성장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기사별로 소개하고 유효한 클릭이 발생하면 수익이 발생합니다

반응형
LIST